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쇼핑 맛집 여행/국내여행 및 문화10

[국내여행 문화] 강원도 양양 (feat. 낙산사)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강원도 양양 낙산사 시작하겠습니다.     낙산사 화재 (2005년)나무위키2005년 4월 4일 일어난 큰 산불이 5일 오전 낙산사로 번져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다. 당시 산불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이전부터 낙산사 주변에서 물을 뿌리며 확산을 막던 소방헬기들도 다른 곳의 불을 끄느라 도저히 낙산사로 올 수 없었고, 그나마 진화를 위해 출동한 소방차마저 불에 탈 정도였다. 낙산사의 승려와 신도들이 소화기로 불을 꺼보려 했지만 고작 소화기 따위로 이 큰 산불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 화재로 보물 제479호로 지정되었던 낙산사 동종이 녹아서 소실되면서 결국 같은 해 7월 7일 지정해제되었다. 산불에 어떻게 금속 종이 녹아내리.. 2025. 2. 20.
[국내여행 문화] 전라북도 고창 선운사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전북 고창 시작하겠습니다.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국가유산포털, 천연기념물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백제 위덕왕 24년(577) 선운사가 세워진 후에 만들어 진 것으로 나무의 평균 높이는 약 6m이고, 둘레는 30㎝이다. 절 뒷쪽 비스듬한 산아래에 30m 넓이로 가느다란 띠모양을 하고 있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아름다운 사찰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2025. 2. 19.
[국내여행 문화] 전라남도 담양 (feat. 원림(園林))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전남 담양 시작하겠습니다.     소쇄원국가유산포털   담양 소쇄원은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 중기 정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다. 양산보(梁山甫, 1503∼1557)는 스승인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1482~1519)가 유배되자 세상의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정원을 지었는데,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 1493~1583)이 ‘맑고 깨끗하다’는 뜻의 ‘소쇄(瀟灑)’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정원은 계곡을 중심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다. 4,060㎡의 면적에 기능과 공간의 특성에 따라 애양단구역, 오곡문구역, 제월당구역, 광풍각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원 내에는 대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단풍나.. 2025. 2. 13.
[국내여행 문화] 경상북도 문경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경상북도 시작하겠습니다.     봉암사국가유산포털  봉암사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헌(道憲)이 창건한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희양산(曦陽山)에 있는 사찰이다. 879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지증대사는 심층거사가 희사한 희양산 일대에 사찰을 짓고 선풍을 널리 펴 희양산문을 열었다. 881년 나라에서 봉암사 이름을 내려 주었다. 봉암사는 후삼국을 거치며 폐허 상태가 되었으나 935년 정진대사가 중창하였고, 조선시대에도 소실 및 쇠퇴와 중건을 거듭하였다. 1915년에 퇴락한 당우를 다시 중건하였으며, 1982년에 특별수도원으로 지정되어 일반인의 출입을 막아 수행 도량이 되었다. **봉암사의 경우 1년에 한번 부처님 오신날에.. 2025. 2. 10.
[국내여행 문화] 경주 3탄 (+강원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경주 3탄 시작하겠습니다.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국가유산포털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상원사 동종(국보),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보물)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전한 형태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다. 높이 3.66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 2025. 2. 9.
[국내여행 문화] 경주 2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경주 2탄 시작하겠습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가유산포털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하부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점차 폭을 줄이는 민흘림기법을 사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좁고 얕은 .. 2025. 2. 5.
[국내여행 문화] 경주 1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기 책 인용, 참고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경주 시작하겠습니다.    첨성대국가유산포털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基壇部)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圓筒部)를 올리고 맨 위에 정(井)자형의 정상부를 얹은 모습으로 높이는 약9m이다.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그 가치가 높으며, 당시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그래서 첨성대의 기단은 정사각형이고 몸체는 원으로 되었다.모두 27단으로 되었는데, 맨 위에 마감한 정자석(井字石)과 합.. 2025. 2. 4.
[국내여행 문화] 충청남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책을 참고, 인용하여 정리해봅니다.그럼 충청남도 시작하겠습니다.  이 평온 속에 살아온 사람들의 정서와 마음씨는 굳이 따지지 않아도 알 만한 일이다. 부드럽고, 여유있고, 친근하고・・・・그러나 무슨 연유에서일까, 내포땅이 배출한 인재들은 온화한 성품의 소유자가 아니라 기골이 강해서시쳇말로 '깡'이 센 사람들이다.최영 장군부터 시작해서 사육신의 성삼문, 임진왜란의 이순신, 9년 유배객 추사 김정희, 자결한 구한말의 의병장 면암 최익현, 김대건 신부, 윤봉길 의사, 김좌진 장군, 개화당의 김옥균, ⌜상록수⌟의 심훈, 남로당의 박헌영, 만해 한용운, 문제의 화가 고암 이을응로・・・・-유홍준,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중-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가유산포털  현.. 2025. 2. 3.
[국내여행 문화] 강진 해남 2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요새 일이 바빠서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해 지네요이러다 연초 목표를 채울 수 있을련가 모르겠습니다 ^^ 그럼 강진 해남 2탄 시작하겠습니다.    김영랑 생가https://namu.wiki/w/%EA%B9%80%EC%98%81%EB%9E%91 김영랑대한민국 시인, 독립운동가,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윤식이다. (중략) 1930년 정지용과 함께 박용철이 주재하던 동인으로 참여했으며, 1930년대 「독(毒)을 차고」,「가야금」, 「달마지」,「춘향」등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해 저항의식을 표출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시를 많이 발표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지조있는 시인으로서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끝까지 거부하기도 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 , , 등이 있다. 주로 언어의 .. 2025. 1. 14.
[국내여행 문화] 강진 해남 1탄 안녕하세요 한별입니다.요즘 읽고 있는 책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류의 유적지 관련 책인데요관련해서 나중에도 찾아볼 수 있게 제 기준으로 가볍게 정리해두려고 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링크타고 넘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강진 해남 1탄 시작하겠습니다.      월출산 도갑사http://www.dogapsa.com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절이다.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의 문화재 자료 제 79호 지정되었다.도갑사는 신라의 4대 고승 가운데 한분인 도선국사가 신라 헌강왕 6년에 창건했다.국보 제50호인 해탈문과 보물 제89호인 석조여래좌상은 후세에 길이 남을 미술품이며, 이밖에도 귀중한 문화재가 많이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도갑사 관음32응신도https://encykorea.. 2025.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