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경제 아이디어 문화/나의생각

[50] 애증의 나무

by 한 별_ 2025. 3. 20.
반응형

 

 

 

 

애증의 나무


우리는 '애증'이란 단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한자 그대로 '사랑애(愛)' '미울증(憎).

사랑과 미움을 동시에 갖게 되는 감정을 의미합니다.

마치 '시원섭섭하다' 처럼 동시에 존재할 수 없는 것의 양가적 감정을 의미하기도 하죠.

 

 

저에게 애증의 대상이란 '가족'입니다.

가족을 사랑하지만 반대로 또 미워할 수 밖에 없는 존재들.

그리고 가까이 있고 싶지만, 가까이 있으면 또 서로 상처 받는 사람들.

그렇기에 저희 가족에게는 일정한 선이 있는 것 같습니다.

서로의 범주를 침범하지 않는 선. 관계를 지키기 위한 선 말이죠.

남들이 보기엔 기이한 관계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그것도 사랑의 한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가족이 TV 드라마 속 모델은 아닐테니깐요.

 

 

이러한 애증의 형태는 다른 관계에서도 잘 나타납니다.

헤어진 연인과 끝내야 한다는 걸 알지만, 쉽게 잊지 못하는 상태나

친한 친구가 잘되면 배 아프지만, 그래도 친구가 행복하길 바라는 감정 같은 것들 말이죠.

 

그래서 우리는 애증의 마음을 가지게 될 때, 마음 속에 어떠한 짐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이중적인 스스로의 태도에 환멸을 느끼기도 합니다.

마치 내가 이상한 사람이 된 것마냥 말이죠.

그리고 그러한 감정은 꽤나 오랫동안 내 마음을 괴롭힙니다.

 

 

그러나 누구나 알다시피 우리 인간의 마음은 단편적이지 않습니다.

마치 잘 컷팅된 다이아몬드가 빛을 받으면 여러 방향으로 빛나듯이,

어떠한 상황을 마주했을 때 인간의 마음 또한 여러 감정으로 표현됩니다.

 

 

'애증' 이란 감정도 그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오랫동안 애증하다 보면, 언젠가 결국 애증의 뿌리는 '사랑'이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사랑이 깊어 질수록 '증오'도 깊어지는 것이죠.

물론 그게 도움이 되는 좋은 감정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확실히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그 감정을 느끼는 것 또한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겁니다.

너무 죄책감 들어하지 마세요. 너무 스스로에게 야박하게 하지 마세요.

불완전한 감정의 '나'도 그 자체로 아름답습니다.

 

 

 

 

사랑과 미움은 같은 나무에서 자란다

-스페인 속담-

 

 

 

 

 

반응형

'책 경제 아이디어 문화 > 나의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 이건 다 내 욕심이야.  (0) 2025.03.22
[51] 갑을병정  (1) 2025.03.21
[49] A 와 B 가 만나서  (0) 2025.03.19
[48] 부끄러움은 나의 몫!  (1) 2025.03.17
[47] 레어로 주세요!  (0) 2025.03.16